• Loading...
  • Loading...
대금(大琴)의 명수(名手) 박종기(朴鐘基)

휘영청 달 밝은 밤 광나루에 배 띄우고 / 진도 아리랑 가락에 흐르다 멈춘 강물을 밀치고 가르며 두둥실 떠 내려가네 / 뚝섬, 금호, 한남동, 여의도를 지날칠 때 / 북한산이 어데인고 관악산을 굽어보니/ 인왕산 치마바위가 달빛에 어리우고/남산도 뒤로 밀려 절두산이 바기우네 / 긴 모래 사장은 달빛에 글을려 은 모래 깔리고 / 출렁대는 한강 물 은은히 울려 스치는 소리 있어/귀뚜라미 소리인가 했더니 꾀꼬리 울음이요/ 앵무새 지져기는가 알았더니 비둘기 소리라/ 등불 높이 받잡고 두리번 거리니 /산새도 물새도 아닌 신선인 듯 진도땅에서 온 박종기 절대의 명인이 부르는 대궁 산조라/ 꿩꿩하다가 푸드덕 소리가 나니 꿩 날개치는 소리난다/ 유람선에 몸을 실은 성루장안 선비님들 기가차 혀 내두르니 밝은 달도 수줍어서 구름으로 가리우더라.

애애절절이 끊어지는 듯 이어지고 밤바람을 타고 울려 퍼지는 갸냘픈 절대의 소리는 일제 무단정치에 몸부림치던 한 많은 이 민족의 애환을 길고 짧은 한숨소리에 실어 보냈는가?

절대의 명인 박종기는 1879년 12월 12일 임회면 삼막리 138번지에서 부친 박기순(朴基順)과 모친 김사현(金寺玄)사이에 둘째 아들로 태어났다. 구석진 이 고장에서 천인의 몸으로 태어나 그는 당시 국창급인 명창(名唱) 화중선. 임방울 등과 어울리면서 서울 장안은 물론 전국을 휩쓸었고 현해탄을 넘나들기도 하였다. 그가 득음(得音)한 내력을 살펴보자.

박종기 나이 5세때 어머니를 여의자 3년간을 하루도 걸르지 않고 어머니 묘소(진도읍 포산리에 있음)에 찾아 다녔다. 묘소에 찾아간 그는 어머님 묘소 옆에서 대금을 불면서 익히기 시작하였다. 3년에 이르자 각종 새소리는 물론 가야금이나 거문고 산조를 타면 바로 같이 따라서 연주할 수있을 정도로 능숙해진 것이다. 박종기는 나무를 하러 갈때나 놀러다닐 때도 항상 대금을 가지고 다니며 바람소리, 물 흐르는 소리 등 소리나는 것은 모두 연주하게 되었다. 한 편 꿈에서 선몽이 있어 그곳에 가보았더니 푸른 대밭에 오직 황색의 큰 대나무 한그루가 있어 그 대를 뿌리까지 파다가 만들었다는 박종기의 절대는 밑부분이 혹 같이 달렸고 벌어질까봐 그 부분을 얼마나 힘껏 조여맸는지 훗날에 무엇을 힘껏 조여 매면 「종기 절대 매듯한다」는 속담이 되기도 했다.

진도군 임회면 안금산(按琴山)턱 안금당(按琴堂- 임회면 삼막리 소재)에서 인근 주민들이 운집한 가운데 절대로 새타령을 한참 연주중에 난데없이 주변에서 산새들이 박종기 어깨위에 또는 머리 주위에 날아와 떠날줄 모르니 보는 이 어찌 탄복함을 참을 수 있으랴. 그후 절대의 명인 박종기는 서울장안은 물론 전국에 그 명성르 떨쳤고 마침내는 현해탄을 건너 일본등지에 까지 알려지게 되었다. 이렇듯 대듬의 창시자요. 진도 아리랑을 만들고 널리 보급시킨 선생의 기예는 한주환이가 이어받았고 이생강. 서용석은 또한 그 뒤를 이어 받았다.

이와같이 고명한 분과 함께 진도의 예술은 남도의 예향이라 불리어지고 중앙 무대에서 활약하는 박보아. 박옥진 가야금의 명수 박동준, 명고수 김득수 등 수많은 자랑스러운 우리 군의아들 딸들이 그 맥을 이어가고 있다. 뿐만 아니라 박종기 절대의 명인은 효동와 청빈을 신조로 삼았으니 그의 친형 박종현(朴鐘賢)이 몹쓸 병에 걸려 사경에 도달했을 때 스스로 손가락을 잘라 주혈하니 그의 형수 자매들이 잇달아 손가락을 잘라 형의 입안에 피를 쏟았으며 그 효험으로 수명을 연장하게 되었고 그의 어머니가 병석에 누워 앓고 있을때에는 자기의 양다리 허벅지 살을 베어 죽을 쑤어 잡수시게 하였다.

이와같이 지극한 효성과 형제간의 우애에 감동하여 군민 모두가 함께 찬양하고 그뜻을 받들어 마을 유지들이 면장에게 면장은 군수에게 천거하였더니 이를 알게 된 군수는 출천지효(出天之孝)라 감탄하여 널리 알려야 한다고 직접 천거장에 찬양의 뜻을 증명하기도 하였다. 형자간의 우애와 효성이 지극한 박종기 절대의 명인은 여름 어느날 완도에서 이름 높은 인사들이 모인 연회석에 초청을 받고 대금을 연주하던차 대금끝에서 붉은 피가 한방울 한방울 떨어지기 시작했다. 앞에서 구경을 하던 사람들이 그 사실을 선생에게 알려 주었지만 선생은 그 사실을 알고도 옆으로 고개를 돌리면서 연주하던 곡을 끝마치고 대금을 손에 꼭 쥔채 그 자리에 쓰러져 숨을 거둔 것이다. 때는 1953년 7월 7일 무더웠던 한 여름 날의 비보였다. 당시의 이 통분함을 어떠 하였으리오.

진도군민들은 날으던 새도 멈추게 하였던 절대의 명인 박종기 죽음에 접하여 군민장으로 하여 높은 공적을 추모하였고, 1974년 4월에는 「박종기 공적비 건립 추진위원회」에서 그의 공적비를 진도 무형문화재전수관 앞마당에 건립하였는데 한 나그네가 머물다 간 자취를 다시한번 불현듯 생각케 한다. 자신의 피와 살을 도려내는 지극한 효성과 형제간의 우애는 진정 출천지효이며 이나라 암흑기의 한숨소리와도 같은 그의 생애는 대금 산조와 진도아리랑 음률속에 나는 새도 머물게 하였으니 오늘을 살고 내일을 이어가는 뭇사람들에게 수많은 교훈과 깊은 감화를 줄 것이다.

지금도 그의 손자인 인간문화재 박병천과 그 후손들이 박종기 절대의 명인에 대한 뜻을 이어가고 있으니 후손에 길이 빛나리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