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품번호는 베토벤이 확실하게 붙이기 시작했습니다. 

꼭 작곡한 순서와 일치하지는 않습니다. 
악보의 출판 순서로 붙이는 경향이 있기 때문입니다. 
멘델스존의 경우 5개의 교향곡 순서가 바뀌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Op 이외에 다른 약자도 사용되고 있습니다. 

대부분 정리한 사람의 이름을 딴 경우죠. 아는대로 간단히 나열해 보겠습니다. 

K : 모짜르트. 쾨헬(Kochel, o자 위에 움나우트)이 정리한 번호.

RV : 비발디. 리용(Ryon)이 정리한 번호로 Ryon Verzeichnis의 약자. 

BWV : 바흐. 바흐 작품번호(Bach Werke Verzeichnis)라는 뜻입니다. 
볼프강 슈미더가 정리했구요.  체계적인 정리인지는 잘 모르겠지만.. 
하여튼 칸타타, 오르간곡, 관현악곡.. 등등 곡장르를 묶어서 번호를 붙여놨습니다.

BWV Anh. : Anhang를 의미합니다. 부록이란 뜻이죠. 
바흐 작품 중에서 단편들, 나중에 발견된 곡들, 또는 위작 혐의가 짙은 곡들에 붙입니다.   

SWV : 하인리히 쉬츠. 쉬츠 작품번호(Schutz Werke Verzeichnis)라는 뜻입니다. 
쉬츠는 바흐 이전의 독일작곡가죠. 쉬츠의 마태수난곡.. 참 감동적인 곡입니다. 

HWV : 헨델. 헨델 작품번호(Handel Werke Verzeichnis)라는 뜻이겠죠?  
예를 들어 수상음악은 HWV 348, 왕궁의 불꽃놀이 음악은 HWV 351.  물론 안 쓰기도 합니다. 

D : 슈베르트. 도이취 번호로 도이취 오토 에리히라는 슈베르트 연구가가 정리했습니다.

WoO (Werke ohne Opuszahl) : 독일어 그대로 작품 번호가 없는 작품을 의미합니다.  
베토벤 행진곡들 CD 보시면 이 번호가 많이 붙어있습니다. 

K : 도메니코 스카를라티. 알렛산드로 스카를라티는 도메니코의 아버지입니다. 
랄프 커크패트릭(Ralph Kirkpatrick)이 정리했습니다. 유명한 쳄발로 주자입니다. 
참고로 커크패트릭의 바흐 평균율클라비어 곡집 1권(Archiv)은 클라비코드로 연주했고 
매우 아름다운 연주입니다. 

L : 역시 도메니코 스카를라티. K보다 많이 쓰이지는 않는 듯 합니다. 
방금 검색해봤더니 Longo라는 분이 정리했다고 하는군요.   
예를 들어 호로비츠의 CD를 보면 스카를라티 소나타 K. 127, L. 186 (앙증맞은 곡이죠?)  
이라고 표기되어 있습니다. 

Hob : 하이든. 호보켄(Hoboken)이 정리했습니다.. 
물론 이 번호를 안 쓰기도 합니다.  그냥 교향곡 102번나 천지창조, 
사계.. 이렇게 씁니다. 제 생각이지만 Hob란 용어를 안쓰는 경우가 더 많은 것 같습니다.

TWV : 텔레만. 텔레만 작품 번호(Telemann Werke Verzeichnis)를 의미하는 것 같습니다. 
베를린 바로크 졸리스텐이 연주한 텔레만 협주곡집(EMI)에 있네요.  
괴벨/무지카 안티쿠아 쾰른(Archiv), 구스타프 레온하르트(Seon) 연주에서는 이 번호를 안 쓰더군요.

 그 외에도 LP나 CD를 보면 생소한 작품번호들도 무척 많습니다. 
예를 들어 바흐 아들인 칼 필립 에마누엘 바흐의 곡들을 보면 Wq가 붙어있습니다.

작품번호 덕분에 더욱 곡을 확실히 찾을 수 있지 않나 싶기도 합니다. 
제목이 비슷한 곡들은 조성만 가지고 찾기는 힘든 단점이 있습니다 . 
특히 바흐 곡이 그렇다고 생각합니다.  

No.(Nr.)는 말 그대로 번호입니다. 

그러니까 이건 작품번호와는 약간 차이가 있는데, 그 작곡가의 곡 중 비슷한 장르나 한 제목으로 묶인 곡 
중에서의 순서를 의미합니다.  여기에는 그 작곡가의 교향곡, 종류별 협주곡, 역시 각종 실내악곡 등등이 
모두 포함되구요. 

예를 들어 Brandenburg Concerto No.3, BWV 1048은 바흐 작품번호 1048번이고. 
바흐가 작곡한 6개의 브란덴부르크 협주곡 중에서 세 번째 곡이란 얘기입니다.  
또 Dmitri Shostakovich의 Symphony No.4 in c minor Op. 43은 작품번호로는 43번이고, 
15개의 교향곡 중에서 4번째 곡이란 얘기입니다. 

Mvt는 악장(movement)을 의미하구요..

c-sharp minor 같은 표기는 잘 아시겠지만 조성을 의미합니다. 
즉, C# 단조. 우리 말로는 올림 다단조. 조성은 언어마다 표기가 틀립니다.
영어로 장조는 major, 단조는 minor 이구요. 독어로 장조는 dur, 단조는 moll.
프랑스어로 장조는 majeur, 단조는 mineur.

참고로 조성을 표기할 때 대문자냐 소문자냐 만을 가지고도 조성을 구분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대문자 C는 다장조, 소문자 c는 다단조를 의미합니다. 가령 어떤 곡을 표기할 때 
간단히 in C 하고 끝나면 C장조를 의미하고, in c 하고 끝나면 c단조를 의미하는 것이죠. 
물론 이렇게 표기 안 해도 됩니다만... 하지만 독어식으로 표기할 때는 잘 지켜집니다.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바흐 관현악모음곡 2번 b단조는...
Bach Orchestral Suites BWV 1067, in B minor (h-moll, en si mineur).

바흐 관현악모음곡 3번 D장조는...
Bach Orchestral Suites BWV 1068, in D major (D-dur, en re majeur).  
(따라서 유명한 바흐 b단조 미사는 검색시 원제목을 고려해 h-moll 로 하시는 것도 더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는 방법이 됩니다.)

'이탈리아의 해럴드'처럼 제목이 붙어있는 곡들은 따옴표나 괄호, 꺽쇠 등으로 '재량껏' 표시합니다.  
가령 베토벤 피아노 소나타는 No.8  'Pathetique'(비창), No.17 'Tempest' (템페스트)..

어떤 악기나 특정 성부(성악)를 위한 곡은 for라는 표현도 쓰죠. 
독일어로는 fur (u위에 움나우트), 불어로는 pour 라고 하구요. 

예를 들어 드보르작의 바이올린 협주곡은, 
Concerto for Violin and Orchestra in A minor Op. 53 (또는 간단히 Violin Concerto)
Konzert fu"r Violine und Orchester a-moll (독일어) 

마찬가지로 브람스의 알토 랩소디는 Alto Rhapsody 또는 Rhapsody For Alto. 
약간 더 자세히 적자면 Rhapsody For Alto, Chorus, and Orchestra, Op. 53

오페라나 발레곡 등을 보시면 음반명에 excerpts나 highlights 라는 말이 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것은 전곡이 아닌 발췌반(하일라이트반)을 의미합니다. 

또 Act/ Akt/ Acte I은 각기 영어/ 독어/ 불어로 1막을 의미하구요. 
게오르그 솔티의 Decca Legends 시리즈 중에 바그너 악극 발퀴레 3막 녹음이 있습니다. 
이 CD의 타이틀은 Die Walkure, Act 3이라고 되어있습니다.



                                                                   출처 : 네이버 음악세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