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악 용어의 이해

모음곡(組曲 : Suite)

모음곡이란 몇 개의 곡을 하나로 모아 묶은 기악곡이라 할 수 있다. 몇 개의 악곡을 하나로 모은다는 점에서, 모음곡은 보통 소나타나 교향곡과 같다고 할 수 있지만, 교향곡이나 소나타처럼 곡 상호간에 내면적인 연결이 없으며, 단지 성격이 다른 곡을 대조시킨 것에 지나지 않는다.

모음곡은 크게 고전 모음곡과 근대 모음곡으로 구분한다. 그런데 고대에서 근대에 이르기까지 시대의 흐름과 작곡자에 따라, 악기 편성과 구조 등은 매우 다른 양상을 띠고 있음을 볼 수 있다.

고전 모음곡

고전 모음곡은 16세기에 처음 생겨 17세기에 성행한 것으로서, 바로크 시대의 주요한 기악 형식의 하나이다. 이것은 무곡의 성격을 가진 몇 개의 악장으로 되어 있는데, 전체는 같은 조성(組性)으로 통일되어 있다.
여기에는 보통 4곡 이상 8곡 정도까지 있는데, 각 악장은 일반적으로 두 도막 형식이다.

이들 고전 모음곡은 바흐헨델 시대에는 궁정과 교회에서 많이 연주되었고, 지금도 흔히 연주되고 있다.
또한 악기사용에 있어서는 16세기경에는 류트(Liute)를 사용했으며, 17세기 이후에는 주로 하프시코드(harpsichord)를 즐겨 사용하였다.
그 밖에도 현악기를 위한 소편성이 실내악과 오케스트라를 위한 모음곡 등을 들 수 있다.

이상에서 언급한 바처럼, 모음곡의 시발은 16세기경이라고 하겠는데, 그 형식의 기반이 되는 것은 중세기 말의 사교 무도라든가 민속 무곡으로까지 거슬러 올라가야 한다. 그리고 박자에 있어서도 2박자, 3박자 등 성격이 다른 2곡 혹은 3곡 이상이 무곡을 모아 만들어진 것이었다.

한편 독일의 작곡가들은 모음곡을 하나로 통일하는 악곡 형식을 생긱해 내기도 했지만, 프랑스의 작곡가들은 그와는 달리 자류롭게 모은 무곡집을 만들었다.
이들은 주로 프랑스 바로크 음악의 초기에서 중기에 이르는 모음곡에서 찾아 볼 수 있는데, 쿠프랭의 [클라브생] 모음곡이 가장 대표적인 작품이다.

고전 모음곡의 형식을 확립시킨 사람은 17세기 중엽, 독일의 작곡가 프로베르거였지만, 모음곡의 표준이 될 만한 것은 18세기 이후 요한 세바스티안 바흐의 모음곡을 정점으로 간주한다.
그 모음곡은 성격을 달리하는 다음과 같은 무곡으로 되어 있다.

  • 알르망드(allemande) : 4/4박자의 독일 무곡
  • 쿠랑트(courante) : 3/4박자의 유쾌한 프랑스 무곡
  • 사라반드(sarabande) : 16세기 스페인에서 유행한 3/4박자 또느 /2박자의 무곡인데, 느리고 위엄이 있는 것이 특징이다.
  • 지그(gigue) : 영국에서 생긱 3박자 계통의 빠른 무곡. 3/8박자 또는 6/8박자로서, 고전 무곡 마지막 악장에 사용한다.

    이상의 4곡은 모두 같은 조를 사용하여 통일시키고 있다. 상술한 모음곡의 형식은 합주곡 혹은 독주곡으로서도 많이 사용되었는데, 그 후 형식이 확대되어 사라반드의 전후에 다음과 같은 몇 개의 무곡을 삽입시켜 사용하였다.

  • 미뉴에트(memuett) : 루이 14세 때부터 궁전에 출입하던 상류 사회에서 유행하던 3/4박자의 우아한 무용과 그 음악.
  • 부레(bourree) : 2박자 계통의 프랑스 무곡
  • 가보트(gavotte) : 16세기 프랑스에서 생긱 4박자 계통의 무곡인데, 17세기 유럽 상류사회에서 유행한 명쾌한 무곡.
  • 폴로네즈(polonaise) : 16세기 궁정의 의식과 행렬에 취급되어 발달한 3박자 계통의 폴란드 민속 무곡.
  • 루레(loure) : 프랑스 노르마디 지방의 옛 악기인데, 이 악기의 연주 특징에서 유래한 느린 3박자 계통의 무곡.

  • 아리아(Aria) : 가곡풍의 멜로디를 중심으로 하는 느린 템포의 작은 곡.

    이상 여러 곡들은 여러 나라에서 발생한 무곡 등을 모음곡으로 했기 때문에 국제적인 성격을 띠고 있는 것이 하나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바흐는 관현악 모음곡만 4곡을 썼는데, 그의 모음곡을 살펴보면 본래의 무도 음악적인 성격을 벗어나 순 기악곡의 형태로 바뀌어 갔음을 알 수 있다. 이들은 바흐가 주로 쾨텐 시절에 쓴 것으로서, 4곡의 작품은 모두 다르지만 현악 4부에 몇 개의 관악기를 배치하였으며, 저음부에서는 쳄발로를 사용하였다.

    헨델의 모음곡 [수상음악]은 20곡이나 되는 긴 작품으로서 비교적 자유롭게 다루어지고 있으며, [왕궁의 불꽃 음악]은 4곡으로 되어 있지만 처음의 장대한 서곡 이외에 새로운 무곡도 삽입시켰다.

    이탈리아에서는 18세기 중엽에야 프레스코발디와 같은 작곡가에 의해서 모음곡이 추천되었는데, 그 가운데는 실내 소나타(sonata da camera)라고 하는 자유로운 모음곡도 유행했다.

    코렐리는 이탈리아 바로크 음악의 대표적인 작곡가 중의 한 사람으로서, 프렐류드, 알르망드, 쿠랑트, 지그 등을 넣어 모음곡을 작곡하였다.

    근대 모음곡

    18세기 후반, 즉 1750년경에 이르자 바로크 시대의 모음곡은 쇠미해지고 대신 디베르티멘도(divertimento: 嬉遊曲)와 카사치오네(cassazione: 18세기 기악 합주곡) 등으로 대치되었다.
    19세기 후반에 이르러 다시금 고전 모음곡을 부활시키려는 기미도 있었으나, 보다 중요한 것은 이 시기에 이르러 근대 모음곡이 확립된 일이다

    이 시기의 모음곡은 지난날의 모음곡에 비하면 매우 자유로운 것이었다. 예컨대, 오페라와 발레(balet)극의 부수 음악, 영화 음악 등도 여기에 포함시켜 관현악곡으로서의 모음곡이 이루어진 것이다.
    달리 말하면, 각기 성격이 다른 몇 개의 곡을 자유롭게 배열하여 오케스트라용으로 모음곡을 작곡하게 된 것이다.

    비제의 [아를의 여인] 제1모음곡, 제2모음곡만 해도 그가 1872년에 작곡한 입센의 시극 [페르 귄트]의 부수 음악으로 쓴 것으로 23곡 중 각기 4곡씩을 추려 2개의 모음곡으로 만든 것이다. 게다가 차이코프스키의 [호두까기 인형]은 발레 음악 15곡 중에서 8곡을 뽑아 모음곡으로 만든 것이다.

    오스트리아의 모음곡에는 이따금 교향 모음곡(symphonicsuite)이라는 명칭이 붙는데, 그것은 악곡의 배열이라든가 악곡의 구조가 교향곡 풍으로 배치되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작품은 일조의 표제 음악으로, 교향곡과 교향시의 중간에 위치해 있다고 하겠다. 가령 1888년에 림스키 코르사코프가 작곡한 교향 모음곡 [세헤라자드]만해도 전 작품에 대한 표제로서 <아라비안 나이트>를 소재로 하여 작곡한 것이다.

    그런데 20세기, 즉 1915년부터 1930년경에 이르러 고전적인 정신의 부활을 꾀하려는 기운이 감돌기 시작했다. '바흐로 돌아가라'는 구호가 나오는가 하면 프랑스에서도 고전을 예찬하는 작곡가들이 나타났다.

    한편 근대와 현대에 이르자 젊은 작곡가들에 의해 독주가 있는 실내악을 위한 모음곡들이 작곡되기도 했다.
    그러한 곡들은 그 구조에 있어서 더욱 자유로운 것이었으며, 새로이 춤곡 이이의 악곡을 취급한 것도 있다. 뿐만 아니라 표제가 붙어 있는 소규모의 곡을 모음곡으로 만든 것도 있고, 극 또는 그와 비슷한 작품 중의 악곡을 모아 모음곡으로 쓴 것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