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악 용어의 이해

서곡과 전주곡(Overture & Prelude)

서곡(序曲 : overture)

기악곡 중에서 서곡과 전주곡도 적지 않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이는 비교적 대중이 이해하기 쉬울 뿐 아니라 매우 친근감이 느껴지는 음악이다.

서곡에는 보통 2개의 종류가 있는데, 본래는 오페라(opera), 오라토리오(oratorio), 모음곡 등 규모가 큰 악곡이 시작될 때 연주하는 도입(introduction)의 역할을 하는 기악곡을 말한다.
또 다른 하나는, 근대에 이르러 연주회용으로 독립된 성격을 가진 서곡을 일컫기도 한다.

물론 서곡은 오케스트라로 연주하는데, 이것은 오페라의 탄생과 더불어 발전하기에 이르렀다고 볼 수 있다.

1597년, 오페라가 탄생할 무렵만 해도, 서곡은 아직 생기지 않았고, 1607년 몬테베르디가 쓴 오페라 [오르페오]에 나오는 트롬본과 오르간의 토카타(tocata)가 있지만 그것은 축제 음악적인 짧은 기악의 도입을 가진 작품 정도로 취급해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오페라의 서곡으로서 가장 오래 된 예는 1632년, 로마 악파의 작곡가 스테파노 란디의 [일 산 알레시오]에 나오는 칸초네(canzone)푸의 서곡이다.

뒤이어 몬테베르디의 제자인 베네치아의 오페라 작곡가 카발리가 1649년에 만든 [지아소네]에서 찾아볼 수 있다. 그것은 2박자의 느린 템포로 시작하여 3박자의 빠른 템포로 연주하는 2개의 부분으로 된 서곡이었다. 한편 프랑스의 뢸리가 1658년에 쓴 작품에서 프랑스풍의 서곡을 볼 수 있다.

그것은 'largo - allegro - adagio'의 3개 부분으로 되어 있는데, 이 스타일은 바로크 시대 말기까지 즐겨 사용되었다. 이 형식의 서곡은 오페라보다도 모음곡의 서곡으로 오래 지속되었다.

예컨대 바흐가 쓴 4개의 관현악 모음곡도 이 서곡 형식을 취한 것이다. 그와는 달리 17세기 말경 이탈리아의 스카롤라티는 'Dal malo i Pene'에서 보인 바와 같이 'allegro - largo - allegro'의 3개의 구조로 된 서곡을 작곡하였는데, 이와 같은 종류의 이탈리아풍 서곡을 신포니아(sinfonia)라고 불렀다.

이러한 스카롤라티의 이탈리아풍 서곡은 ☞고전파 시대에 이르러 교향곡으로서 발전할 수 있는 중요한 모태가 되었다.

한편 프랑스의 뢸리가 창안해 낸 프랑스풍의 서곡은 바로크 음악이 쇠퇴해진 1750년경에 사라져 버렸는데, 18세기 후반 고전파 시대에 이르러 이탈리아풍 서곡 등은 모두 소나타 형식을 채용하면서 오페라의 줄거리를 암시하는 데까지 생각해 냈다.

즉, 오페라의 주요한 장면에 음악적인 소재를 넣어 서곡을 만들었고 팬들에게 극적인 내용을 암시하는 역할까지 했던 것이다.

전주곡(前奏曲 : prelude)

19세기, ☞ 낭만파 시대에 이르자, 바그너는 악극(樂劇 : musik drama)에서 새로운 전형을 창안해 냈다. 지금까지 즐겨 사용하던 기악적인 소나타 형식을 버리고 오페라의 최초의 정경을 이끌어들이는 전주곡으로 변화시켰던 것이다.

그는 지금까지의 서곡이 오페라 또는 악극 중의 여러 테마를 접속, 통합시켜 일정한 형식 밑에 극의 진행을 암시했던 것을 파기했다. 예컨대, 그의 작품 [로엔그린]에서는 어떤 하나의 중요한 테마만을 강조함으로써 그것만으로 전주곡 전체를 정리했던 것이다.
서곡이란 명칭을 폐기하고 전주곡을 쓴 경향은 바그너 이후에도 베르디비제, 푸치니 등에서 그 공통점을 발견할 수 있다.

한편 9세기, 프랑스의 그랜드 오페라(Grand opera)와 오페레타(operetta)에서는, 오페라 가운데 나오는 유명한 곡 가운데서 명곡만을 골라 편곡을 한 것과 같은 포 푸리(pot-pourri) 형식을 채택하였다. 말하자면 오페라 중에 나오는 중요한 멜로디를 따서 그것을 접속시켜 서곡을 만드는 방법인 것인다.

이와 같은 서곡은 로시니오베르, 마이어베어, 주페 등의 작품에서 볼 수 있다. 또한 베토벤의 [에그몬트 서곡]이나 멘델스존의 [한여름 밤의 꿈]의 서곡 등은 본래 무대극의 반주 음악으로 사용된 것으로서, 연주회용 악곡으로서의 단독 서곡은 아니다.

아무튼 서곡은 일반 대중에게 크게 환영을 받았기 때문에 순수한 심포니 연주회에서도 빼놓을 수 없는 레퍼터리가 되었다.

전주곡은 기악곡에 속하는 것으로서, 본래는 종교적인, 또는 세속적인 음악 작품에 있어서 도입 부분의 역할을 하는 매우 자유로운 악곡이었다.

전주곡의 기원은 15세기 중엽에서 16세기에 걸쳐 건반 악기 혹은 류트(lute)라는 발현 악기(줄을 퉁겨내는 악기)를 위해 쓴 작품에서 볼 수 있다.

16세기 말경에 영국의 작곡가 윌리엄 버드존 불은 건반이 붙은 벌현 악기인 버지널(virginal) 주자와 기교를 살리기 위해 많은 전주곡을 작곡하였다.

한편, 1650년경부터는 다른 특정한 악곡과 결부시킨 전주곡 작품이 나타났는데, 이는 무도 모음곡 첫머리의 악곡으로서 무곡 형식이 아닌 형태의 전주곡이었다. 다시 말하면 모음곡, 나아가서는 모음곡풍의 악곡의 첫머리에 두어 도입 부분의 역할을 하게 된 것이다.

프랑스의 작곡가 쿠프랭의 모음곡 전주곡에서는 자유로운 리듬의 특색을 볼 수 있다. 그리고 헨델이 쓴 모음곡의 전주곡은 자유로운 리듬에 즉흥적인 양식을 가미시셨다고 하겠다.

그런데 전주곡으로서의 확고한 구조를 마련하는 데 크게 공헌한 사람은 바흐이다. 특히 바흐는 전주곡을 푸가와 결부시켜 극히 예술적인 것으로 만들었다.

그의 작품 가운데 [클라비어와 오르간을 위한 전주곡]은 실로 다채로운 양상을 보인 것들이다. [평균율 클라비어곡집] 제1, 제2권 중에 나오는 전주곡을 보면 모방 양식을 취하지 않은 전주곡과 모방 양식에 의한 전주곡, 그리고 서정적인 아리아를 구가하는 것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19세기 이후의 유명한 전주곡 작곡가로서는 우선 쇼팽을 들 수 있다. 그는 자유로운 형식을 사용하여 독자적이고도 독립된 전주곡 소품들을 작곡했다. 따라서 이러한 전주곡들을 모음곡으로 하여 형식에 있어서나 내용에 있어서 수준 높은 음악을 창안했던 것이다.

쇼팽이 1838년 ~ 1839년 사이에 작곡한 24곡의 전주곡들은 모두 그 성격이나 형식이 일정하지 않은 작품들로서, 절모한 기교가 구사되었을 뿐만 아니라 각양 각색의 시적인 정취가 풍기는 일품들이다.

여기에는 쇼팽의 아름다운 시정과 강한 정열, 요염한 정서가 깃들여 있으며, 그것들은 듣는 이들을 어떤 기분 또는 감정 상태로 이끌어들인다.

러시아의 작곡가 스크랴빈은 85곡이나 되는 전주곡을 작곡하였으며, 프랑스 인상주의 음악의 창시자인 드뷔시는 피아노 음악을 위해 전주곡이란 새로운 형식을 창안해 냈다.
그는 2집으로 된 24개의 [전주곡집]을 작곡함으로써 피아노가 가진 미지의 음의 세계를 발견했다는 업적을 남겼다. 그것은 쇼팽리스트의 피아노곡에 부여된 피아노의 개념을 완전히 깨뜨린 것이라고 하겠다.

드뷔시의 전주곡은 재래에 속하는 의미의 전주곡이 아니다. 한 마디로 詩的이라 부르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1910년은 드뷔시에게 있어서 그야말로 가장 성숙한 시기인데, 이 시기에 발표된 전주곡들은 모두 감상적인 인상, 정밀한 시감(詩感), 나아가서는 그 분위를 살린 일품들이다.

리스트는 교향시 12곡 중에서 제3번을 [교향시 전주곡]이라고 했다. 이 작품은 19세기 초 프랑스의 시인 라마르틴이 쓴 <시적인 명상>이라는 글에 나오는 짧은 문장을 음악으로 표현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