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치타티보 (recitativo)

아리아가 주인공의 감정을 표현하는 데 비해 레치타티보는 주인공이 처한 상황, 스토리 전개를 설명한다.
대체로 ① 레치타티보 세코(recitativo secco), ② 레치타티보 스트로멘타토(recitativo stromentato) 등 두 가지로 구별된다.

건조서창(乾燥敍唱)이라고 번역되는 레치타티보 세코는 화성(和聲)만을 쳄발로 ·피아노로 반주해 줄 뿐이다.
세코 양식을 유효하게 구사한 것이 나폴리악파의 작곡가들이며, 그후 로시니, 모차르트 등이 사용하였다.
스피디한 회화의 형식은 오페라에서 중요한 구실을 한다.

기악 또는 반주가 붙는 서창이라고 번역되는 레치타티보 스트로멘타토는 세코가 건반악기만으로 반주되는 데 비하여 다양한 악기의 반주를 받는다.

독립적으로 쓰이는 경우는 거의 없으며, 대부분 영창(詠唱)을 끌어내는 수단으로 쓰인다. 모차르트의 《피가로의 결혼》 제3막 백작부인의 아리아 <즐거운 추억은 어느 곳에>의 전반이나, 제4막 수잔나의 아리아 <연인이여 빨리 오라>의 전반에 사용된 레치타티보는 모두 오케스트라의 반주를 받는다.
이들 레치타티보는 리드 ·발라드 또는 연주회용의 아리아 등에도 쓰인다.

자료출처 : 명곡해설 라이브러리(음악세계)